북한산성 12성문 일주
금번 산행은 수도 서울의 진산이자 우리나라 산악의 요람인 북한산(삼각산)의 12성문을 일주하는
와라바라 정기산행에 참가하여 삼각산과 북한산성의 진면목을 접하는 계기가 되었다.
2013. 9. 1(일) 07:11 북한산성 입구 - 07:31 서암문(시구문) - 07:45 원효암 - 07:57 원효봉 -
08:08 북문 - 08:15 상운사 - 09:08 위문(백운봉암문) - 09:26 백운대 -
10:04 용암문 - 10:44 대동문 - 11:02 보국문(한국문) - 11:23 대성문 -
11:32 대남문 - 11:47 창수동암문 - 부왕동암문 - 13:03 용혈봉 - 13:13 용출봉 -
13:27 가사당암문 - 13:34 의상봉 - 13:50 국녕사 - 14:25 중성문 - 14:40 북한산성 입구 -
15:20 대서문 - 15:30 북한산성 입구
▲ 서암문(시구문)......산성안에서 시체를 내보내는 문
▲원효암....... 원효대사가 참선수행하여 득도한 암자
▲ 원효봉 마당바위에서 백운대 조망
▲ 상운사
▲ 약수암
▲위문(백운봉암문) ......백운대와 만경대의 중간에 있는 성문으로 북한산성 성문중에서 가장 높은곳에 위치하여 있다.
▲ 인수봉.....백운대에서
▲ 만경대.....백운봉에서
▲ 용암문......용암봉 인근에 위치해 성안 중흥사와 성밖 도선사와 연결하는 통로
▲ 대동문.....구천계곡으로 해서 수유리와 연결되고 특히 대동문은 성안 왕실역할을 하였던
행궁지와 근접해 있었다.
▲ 보국문(동암문,소동문)
▲ 대성문........형제봉능선으로 평창동과 정릉동에 연결되는 중요한 통로이다.
▲ 대성문 전경
▲ 대남문......구기계곡으로 해서 종로와 연결되는 관문이다.
▲ 청수동암문.....문수봉과 나한봉 사이에 위치해있고 산성안으로 남장대지와 행궁지로 연결된다.
▲ 의상봉능선.....나월봉넘어로 증취봉,용혈봉,용출봉이 맨뒤에 의상봉이 우뚝솟아 있다.
▲삼각산의 세봉우리인 좌측으로 백운대가 그뒤에 인수봉이 그리고 우측으로 만경대가 한눈에 들어온다.
▲ 부왕동암문......성밖의 삼천사와 성안의 중흥사를 연결하는 통로로 암문은 비상구역할을 하는 통로.
▲ 가사당암문.....성밖 백화사에서 성안으로 접근하는 통로에 위치해 있다.
▲ 의상봉을 넘어서 하산하다가 추락사고 발생으로 지체되어 다시 의상봉으로 되돌아와 계곡길로 하산
▲ 국녕사......승영사찰로 산성의 관리와 방어를 담당하는 승군이 주둔한 병영
▲ 중성문.....북한산성 내부의 행궁지등 중요시설을 방어하는 성문으로 2차적인 저지선 역할을 수행
▲ 중성문
▲ 북한산성계곡......만경대와 대남문 부근의 산줄기에서 발원한 계곡물은 창릉천으로 흘러들어 간다.
▲ 대서문....북한산성에서 가장낮은 곳에 위치해 있어 산성으로 반입되는 물품들은 이곳을 통해서 수송되었다.
▲ 대서문 전경
《에필로그》
삼각산 높은 봉우리 하늘을 뜷었으니 오르면 북두성도 딸만하다.
높은 뫼에서는 구름안개만 일어나는 게 아니다.
능히 왕도로 하여금 만세를 영화롭게 하리라. 〈북한산 詩 매월당 김시습〉
북한산성 안에는 6개의 대문과 7개의 암문이 그리고 1개의 수문이 설치되어 있어 험준한 지형지물을 이용한
완벽한 방어체였고, 또한 국녕사,중흥사등 12개의 사찰이 있어 승병이 평시와 유사시에 성곽관리와
경비업무의 소임을 수행한 것으로 생각되며 이번 산행은 여로모로 유익한 역사기행이었고 산행이었으나,
북한산성마을 먹거리촌이 2011년에 철거되어 힘든여정에 시원한 막걸리 한잔에 시름에 잠겨볼까 했더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