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종주,비박

중왕산.가리왕산 연계산행

춘천산너울 2014. 9. 28. 22:27

평창군과 정선군에 걸쳐있는 중왕산과 가리왕산은 마항치를 연결점으로 하여 동으로는 가리왕산이 서쪽으로는 중왕산이 자리잡고 있어 마항치에서 1박을 하고 다음날 가리왕산에서 와바와 합류해서 연계산행을 마무리 하였다.

 

2014. 9. 27(토)  11:40 하안미5리  -  13:00 천당골  -  15:16 중왕지맥 능선  -  15:42 중왕산  - 16:24  마항치

2014. 9. 28(일)  09:20 마항치  -  10:38 1456봉  -  10:44 마항치 삼거리  -  11:08 가리왕산  - 

                       11:27 장구목이  -  13:05 중봉  -  14:24 임도  -  15:32 숙암분교

                       (15.0km / 10시간 56분)

 

 

 

 

 

《첫째날》

 

▲ 중왕산 들머리.....천당골 입구

    춘천에서 08:15 정선행 시외버스를 타고서 대화까지 가서 택시를 타고 상안미5리 산행들머리 이동

    춘천→대화(2시간30분/12,700원)→상안미5리(15분/17,000원)

 

 

▲ 천당골 계곡

 

 

▲ 중왕지맥 능선.......계곡에서 오르는 길이 급경사

    계방산 정상에서 오대산 방향에 있는 봉우리에서 남으로  가지늘 튼 능선이 백적산, 잠두산, 백석산,

    중왕산과 육백마지기의 청옥산으로 해서 영월 봉래산까지 이어지고 여맥이 동강과 서강 합류점에서

    맥을 다하는 산줄기

 

 

 

 

 

 

 

 

▲ 백석산 방향.....하일산 봉우리가 살며시

 

 

 

▲ 장전리로 뻗어나간 가리왕산 능선과 가운데 희미한 봉우리가 가리왕산 정상

 

 

▲ 거문산과 금당산

 

 

 

 

 

 

 

 

 

 

 

 

 

▲ 마항치.....정선읍 회동리와 진부면 장전리를 오고가는 고갯마루로 마항치 이정표에서만 확인한

    임도길이 70.2km로  거미줄 같은 임도에서는 조난 사고도 간혹 발생

 

 

▲ 강릉부삼산봉표.......봉표란 나라에서 일정한 곳의 출입을 금하는 경계를 나타내는 비석으로

    이지역은 산삼이 많은 지역으로 삼을 캐러 다니는 사람들이 많아서 삼의 주산지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조선조 영조 3년에 비를 세워 출입을 금하는 봉표

 

                  

 

▲ 이러한 봉표가 존재하는 것은 가리왕산 마항치 봉표가 유일하다.

 

 

 

 

 

 

 

《둘째날》

 

 

 

 

 

 

 

 

                  

▲ 마항치 근처 임도산책.......아침식사 전에

 

 

 

 

 

 

▲ 마항치 임도에서 올려다본 중왕산........맨 뒤에 있는 봉우리가 중왕산

 

 

 

▲ 돌에 새겨진 이정표

 

 

 

 

 

 

 

 

 

 

 

 

 

 

 

 

 

 

 

 

 

 

 

 

 

 

▲ 어은골 삼거리

 

 

 

 

 

 

 

 

 

 

 

 

 

 

 

 

 

 

 

 

 

 

 

 

 

 

 

 

 

 

 

 

 

  ▲ 가리왕산 정상부근......바람의 흔적을 많이 탄듯 

 

      

 

 

 

 

 

 

 

 

 

 

 

 

 

 

▲ 장구목이 입구로 내려가는 등산로.........10분정도 내려가면 시원하고 수량이 풍부한 샘도있고

 

 

 

 

 

 

 

▲ 중봉

 

 

 

 

 

 

 

 

 

 

 

 

 

 

 

 

 

 

 

 

▲ 오늘 산행날머리인 숙암분교........와라바라 버스도 보인다.

 

 

 

▲ 숙암리 마을.....우측 능선 너덜지대를 타고 내려 하산길 

 

                  

 

 

▲ 숙암분교 ........ 이제는 마을과 함께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학교는 스키 활강경기장 공사본부